| ... | ... |  | 
|---|
| 31 | 31 | 판정을 이용한 여러 기믹과 자유 이동이 사용된 레벨이다. | 
|---|
| 32 | 32 |  | 
|---|
| 33 | 33 | 대표적으로 특정 타일에서 발생시킨 판정에 따라 자유 이동 길이 달라지는 '판정 매칭' 기믹과[* 마지막의 소위 협동 구간 또한 판정에 따라 길이 정해지기에 판정 매칭 기믹에 속한다.], 8칸의 자유 이동 공간에서 여러 방해요소를 피하는 '자유 이동 비행'이 존재한다. | 
|---|
|  | 34 |  | 
|---|
|  | 35 | 테스트를 마치고 생화학무기로 더렵혀진 지상으로 올라간다는 스토리가 존재한다. 때문에 뒤로 갈 수록 점점 어려워 지는 레벨 구성을 지니고 있다. | 
|---|
|  | 36 | === 기믹 === | 
|---|
|  | 37 | * 판정 매칭 | 
|---|
|  | 38 | 판정 매칭은 입력과 출력으로 이루어져 있다. 출력을 담당하는 '자유 이동'이 등장하기 전엔 무조건 입력을 담당하는 타일이 등장한다. 해당 타일은 발성새킨 판정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데, 이 색상에 따라서 뒤에 등장하는 '자유 이동'의 길이 정해진다. 판정 매칭은 연속해서 등장할 수 있다. 2개가 이어져서 등장한다면 입력도, 출력도 2개가 된다. | 
|---|
|  | 39 |  | 
|---|
|  | 40 | * 시야 확보 | 
|---|
|  | 41 | 좋은 판정을 낼 수록 뒤에 등장하는 타일의 가독성이 좋아진다. 다만 나쁜 판정을 내도 사망하진 않는다. [[#s-3.1|Part 1]] 중반[* 25% 구간]에서 단 1번 등장한다. | 
|---|
|  | 42 |  | 
|---|
|  | 43 | * 판정 매칭 타일 | 
|---|
|  | 44 | 타일의 색상과 같은 색상의 판정을 내야 넘어갈 수 있는 기믹이다. 해당 레벨에선 {{{#60FE4C 정확}}} 색상 타일만 등장한다. | 
|---|
|  | 45 |  | 
|---|
|  | 46 | * 추가 타일 | 
|---|
|  | 47 | 빨간 기본 타일 내에서 한번 더 클릭해야지 넘어갈 수 있는 기믹이다. 추가 클릭에서 나타나는 너무 빠름은 연출으로 판정에 집계되지 않는다. | 
|---|
|  | 48 |  | 
|---|
|  | 49 | * 자유 이동 비행 | 
|---|
|  | 50 | 한정된 칸 내에서 다가오는 장식들을 피해야 넘어갈 수 있는 기믹이다. 매우 까다로운 패턴을 지녔지만, 제작자가 넘길 수 있는 루트를 쇼케이스에서 함께 공개해 스스로 개척할 필요는 크게 없다. [[#s-3.1|Part 1]] 후반[* 48% 구간]해서 단 1번 등장한다. | 
|---|
|  | 51 |  | 
|---|
|  | 52 | * 평범한 자유 이동 | 
|---|
|  | 53 | 말 그대로 평범한 자유 이동이다. [[#s-3.3|Part 3]] 초반[* 76% 구간]에서 단 2번 등장한다. | 
|---|
| 34 | 54 | == 구간 == | 
|---|
|  | 55 | === 0%~48% === | 
|---|
|  | 56 | > '''{{{+2 Part 1}}}''' | 
|---|
|  | 57 | > "지상에 오르기 위한 준비" | 
|---|
|  | 58 | [[#s-3.3|Part 3]]에 등장하는 기믹들을 숙지시키는 구간이다. 채보의 난이도 또한 가장 쉽다. | 
|---|
|  | 59 |  | 
|---|
|  | 60 | 레벨의 8% 구간에서 판정 매칭이 처음 등장한다. 판정 매칭은 이어져 있지 않고 단일로만 등장하며, BPM 또한 매우 느린 편에 속한다. | 
|---|
|  | 61 |  | 
|---|
|  | 62 | 레벨의 25% 구간에서 시야 확보 기믹이 등장한다. 좋은 판정을 낼 수록 타일의 가독성이 좋아지는 기믹으로, 추후 등장하는 판정 매칭 타일에서 좋은 결과를 낼 수 있도록 돕는다. | 
|---|
|  | 63 |  | 
|---|
|  | 64 | 레벨의 32% 구간에서 판정 매칭 타일이 처음 등장한다. 판정 매칭 타일 또한 이어져 있지 않고 단일로만 등장한다. | 
|---|
|  | 65 |  | 
|---|
|  | 66 | 레벨의 41% 구간에서 추가 타일이 처음 등장한다. 비교적 느린 BPM 덕분에 보고 반응할 수 있다. | 
|---|
|  | 67 |  | 
|---|
|  | 68 | 레벨의 48% 구간에서 자유 이동 비행이 등장한다. 추후 등장하는 자유 이동에서 좋은 결과를 낼 수 있도록 돕는다. | 
|---|
|  | 69 | === 48%~76% === | 
|---|
|  | 70 | > '''{{{+2 Part 2}}}''' | 
|---|
|  | 71 | > "마지막 테스트" | 
|---|
|  | 72 | 플레이어가 [[#s-3.3|Part 3]]의 난이도에 적응할 수 있도록, 모든 분야가 한층 더 강화된다. | 
|---|
|  | 73 | 해당 구간의 채보 난이도는 전체 구간 중 중간을 맡고 있다. | 
|---|
|  | 74 |  | 
|---|
|  | 75 | 추후 등장하는 무지개 구간에서 당황하지 않도록 전체 색상이 반전된다. 따라서 해당 구간에서의 {{{#60FE4C 정확}}} 색상은 {{{#9610A3 이 색상}}}이다. | 
|---|
|  | 76 |  | 
|---|
|  | 77 | 레벨의 59% 구간에서 처음으로 여러개가 연결된 판정 매칭 타일이 등장한다. | 
|---|
|  | 78 |  | 
|---|
|  | 79 | 레벨의 71% 구간에서 처음으로 여러개가 연결된 판정 매칭이 등장한다. 판정 매칭은 총 2개가 연결되어 있으며, 2번째 판정 매칭은 상하가 반전되어 있다. | 
|---|
|  | 80 | === 76%~100% === | 
|---|
|  | 81 | > '''{{{+2 Part 3}}}''' | 
|---|
|  | 82 | > "무성한 정원[* trokreskita ĝardeno]으로" | 
|---|
|  | 83 | 레벨의 하이라이트다. 앞의 모든 구간이 해당 구간을 위한 빌드업이었던 만큼 가장 어려운 난이도를 가지고 있다. | 
|---|
|  | 84 |  | 
|---|
|  | 85 | 79%~82%의 판정 매칭 타일 가속을 시작으로 판정 매칭, 추가 타일, 자유 이동 기믹이 순차적으로 전부 등장한다. | 
|---|
|  | 86 |  | 
|---|
|  | 87 | 82%~92%에서 총 14개의 보석 타일이 고유의 색상을 가진 채로 하늘로 날아간다. 이를 전부 외워서 92%의 자유 이동 구간을 넘기는 것이 목표다. | 
|---|
|  | 88 | 해당 구간은 제작자가 공표한 플레이 방법이 존재한다. 그 플레이 방법이란 레벨을 플레이 하는 사람과 보석 타일의 색상을 외우는 사람이 협동하는 것이다. | 
|---|
|  | 89 |  | 
|---|
|  | 90 | 마지막 판정 매칭을 넘기면 화면의 색상이 무지개 색으로 순환하며 복잡한 패턴이 계속해 등장한다. | 
|---|
|  | 91 | 이또한 끝까지 버텨낸다면 레벨은 클리어된다. | 
|---|
| 35 | 92 | == 여담 == | 
|---|
| 36 | 93 | * 원래는 [[한가지]]의 개인 제작 레벨이었으나 이를 클리어하는 데에 도전하고 있던 [[yoonsu]]가 버그 픽스 및 기믹 수정에 도움을 주어 합작 레벨이 되었다. | 
|---|
| 37 | 94 | * 하이라이트 구간에서 플레이에 영향을 주지 않는 요소를 '''집중'''해서 본 후, 바로 다음 구간에서 검문하는 구성이 Geometry Dash의 레벨 LIMBO와 닮아있어 가끔 '얼불춤 림보'라고 불리곤 한다. | 
|---|
|  | 95 | * [[#s-3.3|Part 3]]의 판정 매칭은 자칫 보면 랜덤인 것 같지만, 사실 판정에 따라서 길이 정해진다. 때문에 전부 정확으로만 처리한다면 완벽한 플레이만 외워둬도 넘길 수 있다. | 
|---|